요리할 때 빼놓을 수 없는 소금은 신경의 자극 전달, 근육의 흥분성 유지, 삼투압 조절과 산·염기의 균형을 조절하는 등 체내에서 중요한 기능을 담당한다. 하지만 과다 섭취할 경우에는 건강상 다양한 문제를 일으킨다. 이처럼 양면성을 가진 소금은 채취 장소와 정제 방법에 따라 종류가 다양하다. 잘 알려진 것부터 최근 주목받고 있는 것까지, 다양한 소금의 종류와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자.
바닷물과 햇빛이 만든 선물, 천일염염전에서 바람과 햇빛으로 수분을 증발 시켜 만든 천일염은 특별한 가공 과정을 거치지 않아 칼슘, 철 등의 무기질이 풍부하다. 천일염은 염화나트륨 농도가 80% 정도로 정제염보다 덜 짜며, 입자가 굵고 흡수성이 높아 잘 굳기 때문에 밀폐 용기에 보관하는 것이 좋다. 김치나 된장, 고추장 등을 담글 때, 생선 절일 때 사용하면 유해 성분을 제거해주고, 천일염 속 미네랄이 음식을 무르지 않도록 도와준다.
땅속에서 찾은 보물, 암염바다나 함수호 등이 지각변동에 의해 융기된 후 오랜 세월을 통해 바닷물은 증발하여 없어지고 염화나트륨만 남아 암석처럼 굳어진 소금이 바로 암염이다. 최근 화제가 되는 히말라야 핑크 소금도 암염에 속한다. 암염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생산되고 소비되는 소금으로, 염화나트륨이 98~99%이며, 일반 소금보다 미네랄과 함량은 높지만, 양이 미미해 건강상의 이점을 기대하기는 힘들다. 암염은 요리에 직접 사용하기보다는 생선이나 고기를 구울 때 뿌리거나 찍어 먹는데 활용하는 것이 좋다.
불 속에 핀 소금, 죽염·자죽염천일염을 대나무 통 속에 넣고 입구를 황토로 막은 뒤, 소나무 장작불로 가마에서 아홉 번 구워낸 것이 죽염이다. 소금을 굽는 과정에서 독소와 불순물이 없어지고, 대나무와 황토의 좋은 성분이 어우러진다. 자죽염은 죽염과 만드는 과정은 비슷하지만, 마지막 아홉 번 째 구울 때 2,000도 이상의 높은 온도에서 구워 자색 빛을 띠는 것이 특징이다. 자죽염은 강알칼리성으로 산성 체질을 중화시켜 중성 체질로 만들어주며, 환원력이 높아 면역력과 자생력을 강화해준다. 죽염과 자죽염은 된장이나 간장, 고추장 등을 만들 때 사용하며 비누나 치약, 음료수 등으로도 다양하게 활용하고 있다. 특히 여름에 자주 먹는 수박은 칼륨 함량이 높지만 나트륨은 전혀 없어 체내 삼투압 균형이 깨지는데, 이 때 수박에 죽염을 살짝 뿌려 먹으면 손실된 나트륨을 보충할 수 있다.
아무리 좋은 소금이라도 과다 섭취하면 여러 가지 질병을 일으킨다. 세계보건기구(WHO)나 국제신장학회의 하루 소금 섭취 권장량은 5g 이하로, 이는 1티스푼 정도에 해당한다. 요리할 때 양념은 적게 넣고 간은 마지막에 하는 습관을 들이도록 하자. 또한 음식을 구매할 때는 영양표시를 확인하고 저염 제품을 구매하는 것이 좋다.
출처: 건강이 궁금할 땐, 하이닥
(www.hidoc.co.kr)